본문 바로가기
대기와환경

[대기오염물질] - 다이옥신

by 뚝심쟁이 2023. 7. 15.
반응형

다이옥신이란?

다이옥신이란 일반적으로 산소원자 2개를 포함하고 있는 분자를 의미합니다(접두사로 쓰이는  di- 가 2개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대기오염에서는 다이옥신 중에서도 염소성분이 결합된 방향족화합물인  Polychlorinated dibenzodioxins(PCDD), 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가 주로 언급됩니다.

 

PCDD는 75개의 이성체(분자식은 같으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다른 화합물)를 가지고 있으며, TCDD는 PCDD의 이성체 중 독성이 가장 강한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인 다이옥신과 대기오염에서 다루는 다이옥신
일반적인 다이옥신과 대기오염에서 다루는 다이옥신의 예

 

발생원인

다이옥신은 화산, 화재, 번개 등 자연현상에 의해서도 발생하지만, 인간의 활동에 의해 대부분 발생합니다.

발생경로는 농약 제조공정 불순물, 담배연기, 자동차 휘발유 첨가제, 염화페놀 관련물질 제조공정 등 다양하지만 90% 이상은 폐기물의 소각 시 발생합니다.

 

폐기물을 완전히 분해시키려면 적정한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는데, 충분한 소각온도에 다다르지 못하고 소각이 진행될 경우 완전히 분해되지 않은 폐기물의 성분중 일부(예시 : 염소가 포함된 유기화합물을 소각하는 경우)가 소각로를 빠져나가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다이옥신을 생성합니다.

 

다이옥신 생성에는 금속이 촉매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구리 및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 제련소와 철 제련소에서도 상당량의 다이옥신이 생성됩니다.

 

특징

* 증기압이 매우 낮아 기화시키기가 어렵습니다.

* 물에 잘 녹지 않을 뿐더러 미생물에 의한 분해도 거의 되지 않습니다.

* 벤젠 등 유기용매에는 용해되는 지용성으로 토양 등에 흡수될 수 있습니다.

* 300~400℃ 까지 열적으로 안정하나, 700℃ 이상에서는 열분해가 이루어집니다.

* 완전분해 된다 하더라도 연소가스 배출 시 300~400에서 재생성 될 수 있습니다.

* 250-340nm 범위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대기중에서 광분해될 수 있습니다.

 

문제점

1. 급성독성

다이옥신을 섭취 시 초기에는 메스꺼움, 구토, 식욕감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흡입 시 호흡곤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이옥신이 피부에 노출되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이옥신 급성독성에 대한 사례로는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 대선후보 중 한명인 빅토르 유셴코의 다이옥신 수프 사건이 있습니다. 당시 빅토르 유셴코의 체내에는 기준치의 수만배에 이르는 다이옥신이 검출되었고, 얼굴이 완전히 망가지는 고난을 겪었습니다. (다행히 여러 치료 끝에 극적으로 생존했습니다.)

 

2. 만성노출

다이옥신에 만성적으로 노출되어 체내에 다이옥신 축적 시 각종 암 발생율을 높이며,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 등을 포함한 호르몬 체계를 교란시켜 '환경호르몬'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 밖에 간, 신장, 심장, 손발저림 등의 질환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며 남성호르몬의 감소와 기형아 출산 등의 각종 문제를 일으킵니다.

 

다이옥신을 줄이기 위한 노력

다이옥신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폐기물 소각 시 충분한 고온으로 소각 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폐기물 발생량 자체를 줄여야 합니다. 일회용품 사용을 지양해야하며, 고무나 비닐 등 다이옥신 생성 원인 물질을 함부로 소각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담배를 태우는 중에도 다이옥신이 발생하므로 금연하는 것도 다이옥신 감소를 위한 실천 노력이 될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