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4 현대적 주기율표의 등장배경과 구성 및 특징 등장배경 18세기 말 무렵 프랑스의 과학자이며 근대화학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앙투안 라부아지에가 그 당시 알려진 23개의 원소 목록을 만든 것을 시초로, 19세기 말 경에는 65개, 20세기 초에는 88개, 오늘날은 118개 이상의 원소가 발견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수는 늘어나고 있습니다. 발견한 원소들의 반응, 성질, 원자량 등에 관한 많은 정보들이 누적되면서 몇몇 과학자들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기적 양상을 발견하고, 이를 성질에 따라 나열하는 도식을 제안했습니다. 그 결과 1871년 구 소련의 과학자 드리트미 멘델레예프가 원소들을 원자량이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하고, 같은열에는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 원소들을 정리한 표인 주기율표를 최초로 고안했습니다. 이후 1913년 영국의 과학자 헨리 모즐리에.. 2023. 10. 7. 화합물과 혼합물 / 혼합물의 분리방법 화합물이란? 화합물(compound)는 화학적으로 결합한 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원소로 구성되어 있는 물질입니다. 화합물에 들어 있는 원소는 서로 섞여 있는 것이 아니며, 원자들이 화학 반응으로 서로 결합하고 있습니다. 화합물의 특징은 1) 원소들이 일정한 질량비로 존재 2) 화합물의 성질이 각 구성원소의 성질들과 다르다는 것입니다. 1)에 대한 예시로 암모니아(NH₃) 분자를 살펴보면, 원자량이 14인 질소(N) 1개와 원자량이 1인 수소(H) 3개로 구성되어 있어 질량비로 표현하면 14:3 있으며, 항상 이 질량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에 대한 예시로는 염화나트륨(NaCl) 분자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나트륨(Na), 염소(Cl)의 성질과 이를 통해 생성되는 화합물인 염화나트륨.. 2023. 10. 6. 원자번호 / 질량수 / 동위원소 정의 및 개념 문제 원자번호란? 원자의 원자번호(atomic number, Z)는 원자의 핵 내에 있는 '양성자 수'를 의미합니다. 한 원소의 모든 원자는 원자 번호가 같고 각 원소의 원자 번호는 다른 원소의 원자번호와는 다릅니다. 그 예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탄소 원자(C)는 6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어 원자번호가 6이고, 모든 질소 원자(N)는 7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어 원자번호가 7이며, 모든 산소 원자(O)는 8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어 원자번호가 8입니다. 질량수란? 질량수(mass number, A)는 원자의 핵 내에 있는 '양성자 수와 중성자 수를 합한 수'를 말합니다. 각 양성자와 중성자는 종류에 관계 없이 갯수가 1개 늘어날 때마다 질량수가 1 늘어납니다. ex) 양성자 수와 중성자 수가 각각 6개인 .. 2023. 10. 3. (1)원자의 구성성분, (2)원자와 원소의 차이, (3)원자모형의 변천사 양성자 vs 전자 vs 중성자 양성자(proton), 중성자(neutron), 전자(electron)는 모두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성자 : 원자의 구성을 원자핵과 전자로 나누었을 때, 원자핵을 형성하는 입자로 양(+)의 전하를 가집니다. 전하량의 크기는 1.602 x 10-19 C으로 +부호이며, 질량은 전자보다 1836배 무겁고 양성자 수는 원자번호를 의미합니다.(양성자수 = 원자번호) 전자 : 원자의 구성 중 음(-)의 전하를 가지는 단위이며 전하량의 크기는 1.602 x 10-19 C으로 양성자와 동일하지만, - 부호입니다. 중성자 : 양성자와 함께 원자핵을 형성하는 입자이지만, 전하를 갖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핵과 전기적인 반발력이 없어.. 2023. 8.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