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기와환경12

썸네일-[수질오염사건]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을 아시나요? [수질오염사건]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을 아시나요?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은 1991년 3월과 4월에, 경상북도 구미시의 O O전자 공장에서 페놀이 낙동강으로 유출된 사건입니다. 이는 한국 환경사에서 주요한 수질오염 사고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습니다.사건개요 및 유출경로 ○ 1차 유출 : 1991년 3월 14일 밤 10시 부터 3월 15일 새벽 6시까지, O O전자 구미공장의 파이프 파열로 약 30톤의 페놀이 낙동강으로 유출○ 2차 유출 : 같은년도 4월 22일, 부실 보수공사로 인해 약 1.3톤의 페놀 추가 유출 유출된 페놀은 옥계천을 통해 낙동강으로 흘러가며, 대구 지역의 상수원인 다사 취수장으로 유입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수돗물이 오염되었고, 염소 소독과정에서 페놀과 염소의 반응으로 클로로페놀이 생성되어 악취를 유발했습니다. 페놀과 클로로페놀의 독성 .. 2025. 2. 13.
우리나라는 왜 북극보다 추웠고, 홋카이도엔 폭설이 내렸을까? (블로킹 현상) 2025년 2월 초중경, 뉴스기사에는 "철원이 북극보다 추웠다",  "홋카이도에는 반나절 동안 120cm가 넘는 폭설이 내렸다" 라는 헤드라인이 있었습니다. 이는 기상학에서 정의하는 "블로킹 현상" 때문인데요, 이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보고자 합니다.블로킹 현상이란?  블로킹 현상은 대기 중에서 공기 흐름이 막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중위도 편서풍대에서 고기압이나 저기압이 정체하여 동서 방향의 바람이 약화되고 남북 방향의 바람이 강화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기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극지방과 중위도 사이의 온도차이가 줄어들수록 더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은? 주요 원인은 기후 변화로 인한 제트기류의 약화입니다. 제트기류는 북극과 중위도 사이의 대기 흐름을 동에서 서쪽으로.. 2025. 2. 12.
썸네일-[대기오염물질] - 메탄(CH₄) [대기오염물질] - 메탄(CH₄) 메탄이란? 메탄은 탄소화합물중 가장 간단한 형태로, 1개의 탄소원자와 4개의 수소원자가 결합한 생성물이며 화학식은 CH₄로 표기합니다. 메탄은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유기화합물 중 하나이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도시가스, 천연가스, 액화천연가스(LNG, Liquified natural gas)의 주성분입니다. 이처럼 연료로도 많이 사용해왔지만, 최근 들어 수증기 등과 함께 합성가스를 획득하는 방법의 발달로 메탄올, 암모니아, 요소 등 제조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메탄은 상온 상압에서 기체 상태이며, 흔히들 메탄의 냄새를 방귀냄새라고 오해하기도 하지만 그것은 메탄의 누출을 사전에 알리기 위해 자극적인 부취제를 투입했기 때문이며, 메탄 고유의 냄새는 없습니다. 메탄의 생성 자연에서 메탄은 주로 미생물의 분해 .. 2023. 7. 19.
[대기오염물질] 황산화물(SOx) 황산화물(SOx)란? 황(S)와 산소(O)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단어지만,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황산화물로는 주로 SO₂(이산화황) 및 SO₃(삼산화황)을 말하 통칭 SOx로 표기합니다. 1. SO₂(이산화황=아황산가) 상온에서 달걀 썩는 냄새가 나는 무색 기체이며, 액상에서는 여러가지 무기화합물과 유기화합물을 녹이므로 용매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기중에서 쉽게 삼산화황으로 산화될 수 있습니다. 2. SO₃(삼산화황) 상온에서 이산화황과는 달리 기체가 아닌 무색의 결정형 고체입니다. 발연황산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주요 발생원인 황산화물은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연료와 같이 황(S)를 포함한 에너지원을 연소시킬 때 생성됩니다. 이를 사용하는 발전소, 난방장치, 제련공장, 정유공장 등 우리나라 대다수에 산.. 2023. 7.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