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화물(SOx)란?
황(S)와 산소(O)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단어지만,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황산화물로는 주로 SO₂(이산화황) 및 SO₃(삼산화황)을 말하 통칭 SOx로 표기합니다.
1. SO₂(이산화황=아황산가)
상온에서 달걀 썩는 냄새가 나는 무색 기체이며, 액상에서는 여러가지 무기화합물과 유기화합물을 녹이므로 용매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기중에서 쉽게 삼산화황으로 산화될 수 있습니다.
2. SO₃(삼산화황)
상온에서 이산화황과는 달리 기체가 아닌 무색의 결정형 고체입니다. 발연황산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주요 발생원인
황산화물은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연료와 같이 황(S)를 포함한 에너지원을 연소시킬 때 생성됩니다. 이를 사용하는 발전소, 난방장치, 제련공장, 정유공장 등 우리나라 대다수에 산업공정에서 황산화물이 배출될 수 있습니다. 자연적으로는 화산 폭발 또는 토양의 미생물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나, 인위적인 발생량 보다는 극히 미미합니다.
위험성
1. 산성비
pH 5.6보다 이하인 빗물을 (상대적으로) 강한 산성비라고 하는데(오염되지 않은 비도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 하여 약산성을 띕니다.), 황산화물이 공기중의 수분과 반응하면 황산(H₂SO₄)를 생성하여 빗물이 강한산성을 띄게 됩니다.
이는 토양을 산성화 시키고, 건축물이 부식 등을 유발합니다. 물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는 호수에 산성비가 내리면, 호수의 산성화로 인하여 생태계에 더욱 더 심각한 피해를 줍니다. 특히 갑각류, 달팽이 등은 산성에 매우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인체에 미치는 영향
- 호흡기 : 기관지 경련, 폐기종, 폐렴, 호흡곤란, 기침, 천식 등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점막 자극 : 피부나 눈에 노출 시 염증, 결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신경계 : 고농도 황산화물에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의식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1952년 영국 런던에서 발생한 스모그는 황산화물이 주 원인이며, 이로인에 수천명의 사람의 희생되는 비극이 발생했습니다.
2023.07.11 - [대기와환경] - 역사속의 대기오염 사건
역사속의 대기오염 사건
뮤즈계곡 사건 1930년 겨울 벨기에 뮤즈강 주변의 공업지대인 뮤즈계곡에서 일어난 대기오염에 의한 중독 사건이며, 세계 최초의 대기오염 사고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당시 뮤즈계곡에는 코크스
finaleffort.com
3. 식물에 미치는 영향
황산화물은 식물의 엽록소 파괴, 백화현상, 반점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식물의 잎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가장 큰 피해는 기공이 열리는 낮, 습도가 높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앞서 황산화물이 대기중 수분과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한다는 것을 말씀드렸습니다.)
규제현황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2조(대기오염물질) [별표1] 및 동법 시행규칙 [별표8] -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허용 기준에서는 황산화물을 대기오염물질로 규정하고 있으며 산업시설, 보일러 등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대기와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는 왜 북극보다 추웠고, 홋카이도엔 폭설이 내렸을까? (블로킹 현상) (0) | 2025.02.12 |
---|---|
[대기오염물질] - 메탄(CH₄) (0) | 2023.07.19 |
[대기오염물질] - 질소산화물(NOx) (0) | 2023.07.17 |
[대기오염물질] - 프레온가스 (0) | 2023.07.16 |
[대기오염물질] - 다이옥신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