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즈계곡 사건
1930년 겨울 벨기에 뮤즈강 주변의 공업지대인 뮤즈계곡에서 일어난 대기오염에 의한 중독 사건이며, 세계 최초의 대기오염 사고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당시 뮤즈계곡에는 코크스, 제철, 제강, 유리, 황산 등의 제조 공장이 늘어선 거대한 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있었으며 사건 당시 바람이 불지 않는 무풍상태와 기온역전현상이 지속되되어 공업지대에서 뿜어져 나오는 유해한 물질이 희석되지 못한 채 뮤즈계곡에 머물렀습니다.
그 결과 6,000여명의 주민이 극심한 고통을 호소하였고, 60여명의 주민이 사망했습니다.
사고 당시에는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지 않았으므로, 각종 공장에서 발생한 유해가스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상승효과를 일으켜 피해를 준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도쿄 요코하마(횡빈) 사건
일본 요코하마에서 1946년 겨울에 발생한 대기오염 사건입니다. 사건 당시 해당 지역에서는 무풍상태이면서 밤~이른아침에 농연무가 발생하여 인근 거주자들이 연무발생에 의한 천식을 호소했습니다. 원인은 정확히 판명되지 않았으나 인근 공단에서 배출한 대기오염물질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도노라 사건
미국의 중화학공업도시인 도노라에서 1948년 겨울에 발생한 대기오염 사건입니다. 해당지역은 분지지형이며 사건 당시 무풍상태와 기온역전현상이 수일간 지속되었습니다.
사건 발생 이전에도 강을 따라 늘어선 황산제조공장, 아연공장 등이 즐비했기 때문에 스모그현상이 빈번했습니다. 그래서 주민들은 사건 당일에도 늘 끼는 안개정도로 밖에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속되는 무풍상태와 기온역전현상으로 인하여 유해한 물질이 희석되지 못한 채 체류하여 결국 1만 4천여명의 주민 중 약 40%에 달하는 6천명이 피해를 보았으며, 20명이 사망하였습니다.
포자리카 사건
멕시코의 포자리카에서 1950년 겨울에 발생한 대기오염 사건입니다. 해당 지역은 분지지형이며 사고 당시 기온역전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사건 당시에 황을 추출하는 공장에서 황화수소가 인근 마을로 누출되었는데, 기온역전으로 인해 황화수소가 장기간 체류하여 지역 주민 2만여명 중 22명이 사망하였습니다.
런던 스모그 사건
영국의 런던에서 1952년 겨울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런던은 하천유역의 평지이며 사건 당시 약 1주일간 무풍현상과 기온역전이 지속되어 차가운 안개가 발생하였습니다.
사건 발생 시기에 런던에서는 도로교통을 버스로 전환하는 사업으로 경유 차량이 증가하였고, 추운날씨가 지속되어 가정에서 석탄을 이용한 난방이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다량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었으나 무풍현상과 기온역전으로 대기중에서 희석되지 못하고 체류했습니다.
그 결과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와 안개가 결합하며 강산성을 띄는 황산 안개를 형성하였고 짧은 시기에 4000여명에 달하는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켰습니다. 그 뒤 무풍현상이 해소되며 스모그가 해소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호흡기 질환을 호소하며 8천여명의 사망자가 추가로 발생했습니다.
수 많은 사람을 희생시킨 이 사건은 전 세계에 대기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LA 스모그 사건
미국의 로스엔젤레스(LA)에서 1943년 여름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LA는 해안분지 도시로 기온역전 현상이 자주 일어나며, 해안성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입니다.
사건 당시 LA에서는 수 많은 자동차에서 방출되는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가 강렬한 태양 자외선과 반응하여 Oxidant(오존)을 만들어 내는 광화학 반응을 일으켰습니다.
그 결과 LA 도시 상공은 황갈색을 띄면서 눈을 따갑게 하는 안개현상이 발생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호소했으며, 향후 미국에서 자동차 배기가스를 규제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보팔사건
1984년 겨울 인도의 보팔 지역에서 발생한 사건입니다. 사건 당시 해당 지역에서는 미국의 유니언카바이드사가 현지에 공장을 세워 농약을 제조 및 판매하였습니다.
유니언카바이드사에서는 농약 원료르 쓰이는 메틸이소시안이라는 유독가스를 탱크에 저장하고 사용했는데, 사측의 부주의로 저온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저장탱크의 온도조절 실패로 유독가스가 누출되었습니다.
그 결과 2,800여명의 주민이 사망하였고, 20만명 이상의 피해자가 발생했습니다.
'대기와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오염물질] - 다이옥신 (0) | 2023.07.15 |
---|---|
[대기오염] - 입자 형태의 대기오염물질 (0) | 2023.07.14 |
오존의 양면성 : 지구의 방패와 대기오염 (1) | 2023.07.13 |
기온역전 현상과 문제점 (1) | 2023.07.12 |
대기의 층상구조(대기권) (0) | 2023.07.10 |